부자되기 마인드 & 꿀팁

현금흐름 4분면이란? E(직장인), S(자영업자), B(사업가), I(투자자)

N잡 고수의 수익 노하우 2025. 8. 4. 09:02
반응형

🎯 현금흐름 4분면이란?
사람들이 수입을 버는 방식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눈 개념입니다.
E(직장인), S(자영업자), B(사업가), I(투자자)로 나뉘며, E와 S는 직접 일해서 돈을 벌고, B와 I는 시스템이나 자본을 통해 돈이 들어오는 구조입니다. 저자는 B와 I로 이동하는 것이 재정적 자유의 핵심이라고 강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래 영상에서 다룬 "현금흐름 4분면"에 대한 내용을 영어 원문 스크립트와 한국어 번역으로 정리합니다. 

 

 

(00:00)
Did you ever hear this while growing up? "Just go to school! Get good grades, so you can get a secure and well-paid job!" I bet that 95% of you have been raised to believe that this is THE road to financial success. I know that I was. And this path might be the most suitable for some people, but definitely not for everyone.

  • Did [dɪd]: (조동사 do의 과거형) ~했니?
  • Secure [sɪˈkjʊr]: 안전한, 안정적인
  • Well-paid [ˌwɛlˈpeɪd]: 급여가 좋은
  • Financial [faɪˈnænʃəl]: 재정의, 금융의
  • Suitable [ˈsuːtəbl]: 적합한, 알맞은

당신도 어릴 때 이런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그냥 학교에 가! 좋은 성적을 받아서 안정적이고 급여가 좋은 직장을 얻어야 해!"
아마 95%는 이런 말이 재정적 성공으로 가는 길이라고 믿으며 자랐을 겁니다. 저도 그랬으니까요.
이 길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가장 적합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맞는 것은 분명 아닙니다.


(00:23)
In Rich Dad's Cashflow Quadrant, Robert Kiyosaki explains that there are 4 different paths to become wealthy, but some of them are more efficient than others ... Takeaway number 1: The cashflow quadrant. The cashflow quadrant is a simple model that explains that wealth can come from 4 different sources. Which quadrant you belong to depends on where most of your income comes from.

  • Cashflow [ˈkæʃfloʊ]: 현금 흐름
  • Quadrant [ˈkwɒdrənt]: 4분면, 구역
  • Wealthy [ˈwɛlθi]: 부유한, 부자의
  • Efficient [ɪˈfɪʃənt]: 효율적인
  • Source [sɔːrs]: 출처, 근원

‘부자 아빠의 현금 흐름 4분면’에서 로버트 기요사키는 부자가 되는 4가지 다른 길이 있다고 설명하지만, 그 중 몇 가지는 다른 길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말합니다.
첫 번째 핵심 포인트는 ‘현금 흐름 4분면’입니다.
이 4분면은 부가 4가지 다른 출처에서 올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간단한 모델입니다.
당신이 속한 4분면은 당신 수입의 대부분이 어디에서 오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00:45)
The 4 different quadrants are: E - the employee S - the small business owner or self-employed. B - the big business owner and I - the investor. The employee strives for security. He achieves financial success by climbing the corporate ladder, and you might find him say something like: "I'm looking for a secure job with nice colleagues and great benefits."

  • Employee [ɪmˈplɔɪiː]: 직원, 사원
  • Strive [straɪv]: 노력하다, 애쓰다
  • Corporate ladder [ˈkɔːrpərət ˈlædər]: 기업 내 승진 사다리
  • Colleague [ˈkɒliːɡ]: 동료
  • Benefits [ˈbɛnɪfɪts]: 복리후생, 혜택

4가지 분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E - 직원(Employee)
S - 소규모 사업주 또는 자영업자
B - 대기업 사업주
I - 투자자
직원은 안정성을 위해 노력합니다.
그는 기업 내 승진을 통해 재정적 성공을 이루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좋은 동료들과 훌륭한 복리후생이 있는 안정적인 직장을 찾고 있어요."


(01:12)
The small business owner or self-employed, on the other hand, strives for control. He achieves financial success by becoming highly specialized in a demanding field, and you might find him say something like: "I'm looking for a job where I can be compensated well for my skills and time where I am in charge."

  • Small business owner [smɔːl ˈbɪznəs ˈoʊnər]: 소규모 사업주
  • Self-employed [sɛlf ɪmˈplɔɪd]: 자영업자
  • Control [kənˈtroʊl]: 통제, 지배
  • Specialized [ˈspɛʃəlaɪzd]: 전문화된
  • Compensated [ˈkɒmpənseɪtɪd]: 보상받는

반면, 소규모 사업주나 자영업자는 통제권을 추구합니다.
그는 까다로운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쌓아 재정적 성공을 이루며,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제 기술과 시간에 대해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고, 제가 책임을 지는 일을 찾고 있어요."


(01:31)
The big business owner strives for freedom. He achieves financial success by creating a profitable business system, and you might hear him say something like: "I'm looking for people that are smarter than me to run my business for me." The investor also strives for freedom, but he does this through allocating money to where it has the highest expected return.

  • Big business owner [bɪɡ ˈbɪznəs ˈoʊnər]: 대기업 사업주
  • Freedom [ˈfriːdəm]: 자유
  • Profitable [ˈprɒfɪtəbl]: 수익성 있는
  • Allocate [ˈæləkeɪt]: 할당하다, 배분하다
  • Expected return [ɪkˈspɛktɪd rɪˈtɜrn]: 예상 수익

대기업 사업주는 자유를 추구합니다.
그는 수익성 있는 사업 시스템을 만들어 재정적 성공을 이루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저보다 똑똑한 사람들이 제 사업을 운영해주길 원합니다."
투자자 역시 자유를 추구하지만, 그는 자금을 가장 높은 예상 수익이 나는 곳에 배분함으로써 이를 달성합니다.


(01:54)
You might hear him say something like: "I'm looking for a place where my money can work for me in the most profitable way possible" Take away number 2: OPT and OPM The number on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cashflow quadrant and the right side is OPT and OPM. OPT stands for other people's time, and OPM for other people's money.

  • Profitable [ˈprɒfɪtəbl]: 수익성 있는
  • Take away [ˈteɪk əˌweɪ]: 핵심 요점, 교훈
  • Difference [ˈdɪfrəns]: 차이
  • Other people's time (OPT) [ˈʌðər ˈpipəlz taɪm]: 타인의 시간
  • Other people's money (OPM) [ˈʌðər ˈpipəlz ˈmʌni]: 타인의 돈

그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제 돈이 저를 위해 가장 수익성 있게 일할 수 있는 곳을 찾고 있어요."
두 번째 핵심 포인트: OPT와 OPM
현금 흐름 4분면의 왼쪽과 오른쪽의 가장 큰 차이는 OPT와 OPM입니다.
OPT는 타인의 시간(Other People's Time)을 의미하고, OPM은 타인의 돈(Other People's Money)을 뜻합니다.

 
 

(02:20)
A person from the B quadrant uses OPT and OPM when he is designing a business system where he can hire people from the E and S quadrants, while using money from people of the I quadrant. Typically, he also invests a lot of his own time to kick-start the business, but in the long run this is not essential, and becoming a more passive owner of the business is possible.

  • Hire [ˈhaɪər]: 고용하다
  • Kick-start [ˈkɪk stɑːrt]: (초기 단계에서) 추진하다, 시작하다
  • Passive [ˈpæsɪv]: 수동적인, 소극적인
  • Essential [ɪˈsɛnʃəl]: 필수적인
  • System [ˈsɪstəm]: 시스템, 체계

B 분면에 속한 사람은 사업 시스템을 설계할 때 OPT(타인의 시간)와 OPM(타인의 돈)을 활용합니다.
즉, E와 S 분면 사람들을 고용하고, I 분면 사람들의 자금을 사용합니다.
초기에는 자신의 시간도 많이 투자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필수는 아니며, 점차 사업의 수동적(간접적) 소유자가 될 수 있습니다.


(02:43)
A person from the I quadrant uses OPT to generate income from his money alone. And if he's skilled enough, he can typically apply other people's money as well as his own money to scale his investment profits. Herein lies the big difference. People from the E and S quadrants never get to use OPT or OPM.

  • Generate [ˈdʒɛnəreɪt]: 창출하다, 만들어내다
  • Scale [skeɪl]: 확대하다, 확장하다
  • Skilled [skɪld]: 숙련된, 능숙한
  • Income [ˈɪnkʌm]: 수입
  • Difference [ˈdɪfrəns]: 차이

I 분면에 속한 사람은 자신의 돈만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OPT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충분히 능숙하다면, 자신의 돈뿐 아니라 타인의 자본도 활용해 투자 수익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E와 S 분면의 사람들은 결코 OPT나 OPM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03:04)
Therefore, the more successful they become in their quadrants, the more money they make, but at the same time - their workload increases. Takeaway number 3: The pros and cons of the quadrants. E- the employee Pros: Reduced financial uncertainty, paid vacation, health insurance (and other benefits) and colleagues.

  • Workload [ˈwɜːrkˌloʊd]: 업무량
  • Pros and cons [prəʊz ənd kɒnz]: 장단점
  • Uncertainty [ʌnˈsɜːrtənti]: 불확실성
  • Paid vacation [peɪd vəˈkeɪʃən]: 유급 휴가
  • Insurance [ɪnˈʃʊərəns]: 보험

따라서 그들이 속한 분면에서 더 성공할수록 수입은 많아지지만, 동시에 업무량도 늘어납니다.
세 번째 핵심 포인트: 각 분면의 장단점
E (직장인)의 장점:
경제적 불확실성이 줄고, 유급 휴가, 건강보험 등 복리후생이 있으며 동료들과 일할 수 있습니다.


(03:32)
Cons: Success means more work and less free time. Your performance is often higher than your salary (if you are not a slacker that is). Colleagues - especially bosses! S - the small business owner or self-employed. Pros: You are your own boss. You're paid according to performance. Cons: Success means more work and less free time.

  • Slacker [ˈslækər]: 게으름뱅이
  • Performance [pərˈfɔːrməns]: 업무 성과
  • According to [əˈkɔːrdɪŋ tu]: ~에 따라
  • Free time [friː taɪm]: 자유 시간
  • Boss [bɒs]: 상사

단점: 성공할수록 더 많은 일을 해야 하고 자유 시간은 줄어듭니다.
성과가 급여보다 높은 경우도 많습니다(물론 게으르지 않다면).
그리고 동료들, 특히 상사와의 관계도 도전입니다.

S (소규모 사업자/자영업자)의 장점:
스스로가 사장이며, 성과에 따라 보상을 받습니다.
단점: 성공할수록 더 많은 일을 하게 되고 자유 시간이 줄어듭니다.

 

 

(04:00)
And financial uncertainty – you might lose money on this. B – the big business owner.
Pros: OPT and OPM. Financial freedom can be achieved very quickly. And a greater portion of your profits goes to you (in other words you pay less tax).
Cons: Financial uncertainty – you might lose money. It requires a different set of skills than what school teaches.

  • Uncertainty [ʌnˈsɜːrtənti]: 불확실성
  • Portion [ˈpɔːrʃən]: 부분, 몫
  • Tax [tæks]: 세금
  • Require [rɪˈkwaɪər]: 요구하다
  • Skill [skɪl]: 기술, 능력

그리고 재정적 불확실성도 있습니다 – 돈을 잃을 수도 있죠.
**B (대기업 사업자)**의 장점은 OPT와 OPM을 활용할 수 있고, 빠르게 경제적 자유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수익의 더 많은 부분이 자신의 몫이 되며(즉, 세금이 적게 나갑니다),
단점은 돈을 잃을 수 있는 재정적 불확실성과,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다른 유형의 능력을 요구한다는 점입니다.


(04:28)
And you'll have to manage people. I – the investor.
Pros: OPT and OPM. Financial freedom can be achieved quickly. A greater portion of your profits goes to you (in other words less tax). And it can be passive.
Cons: Financial uncertainty – you might lose money.

  • Manage [ˈmænɪdʒ]: 관리하다
  • Investor [ɪnˈvɛstər]: 투자자
  • Passive [ˈpæsɪv]: 수동적인, 소극적인
  • Achieve [əˈtʃiːv]: 달성하다
  • Profit [ˈprɑːfɪt]: 이익, 수익

또한 사람들을 관리해야 합니다.
**I (투자자)**의 장점은 OPT와 OPM을 활용해 빠르게 경제적 자유를 달성할 수 있고,
수익의 많은 부분이 본인에게 돌아오며 (즉, 세금이 적습니다),
또한 수동적 수익도 가능합니다.
단점은 재정적 불확실성 – 역시 돈을 잃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04:58)
Takeaway number 4: Breaking the addiction – moving to the right side.
So there are pros and cons with all the quadrants, but the right side is where financial freedom can be achieved the fastest.
Therefore we might ask ourselves: “How can we move to this side?”
Money has an addictive power – much like sex or drugs.
Therefore, when you earn money through a specific quadrant, you’ll be addicted to that quadrant.

  • Addiction [əˈdɪkʃən]: 중독
  • Achieve [əˈtʃiːv]: 달성하다
  • Specific [spəˈsɪfɪk]: 특정한
  • Earn [ɜːrn]: 벌다
  • Quadrant [ˈkwɒdrənt]: 사분면

네 번째 핵심 포인트: 중독에서 벗어나기 – 오른쪽 분면으로 이동하기
모든 분면에는 장단점이 있지만, 오른쪽 분면이야말로 가장 빠르게 경제적 자유를 달성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쪽으로 갈 수 있을까?”
돈에는 중독성이 있습니다 – 마치 성이나 약물처럼 말이죠.
그래서 한 분면을 통해 돈을 벌기 시작하면, 그 방식에 익숙해져 중독되기 쉽습니다.


(05:20)
If you earn money as an employee for a large company, for instance, your brain will associate that type of work with a cash reward.
Switching from one quadrant to another becomes more difficult because of this.
Moreover, if you’ve been raised in a family where degrees, job security, paid vacation and governmental pension has been highly valued, you might have a difficult transition to make.

  • Associate [əˈsoʊʃieɪt]: 연관 짓다, 연결하다
  • Reward [rɪˈwɔːrd]: 보상
  • Transition [trænˈzɪʃən]: 전환, 이동
  • Governmental [ˌɡʌvərnˈmɛntl]: 정부의
  • Pension [ˈpɛnʃən]: 연금

예를 들어, 대기업 직원으로서 돈을 벌게 되면,
당신의 뇌는 그 일을 금전적 보상과 연결짓게 됩니다.
그래서 한 분면에서 다른 분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죠.
게다가, 만약 학위, 직업 안정성, 유급 휴가, 그리고 정부 연금 같은 요소를 중요시하던 가정에서 자랐다면,
오른쪽 분면으로의 전환은 훨씬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05:46)
Here are some potential mental obstacles for the conversion:
"Argh! You are taking too many risks!"
"You might fail!"
"Money can't buy happiness anyways!"
As if this wasn't enough, our educational system is built so that it rewards those who make the least number of mistakes, and punishes those who make the most.

  • Obstacle [ˈɑːbstəkl]: 장애물, 방해물
  • Conversion [kənˈvɜːrʒən]: 전환, 변화
  • Reward [rɪˈwɔːrd]: 보상하다
  • Punish [ˈpʌnɪʃ]: 벌하다
  • Mistake [mɪˈsteɪk]: 실수

전환 과정에서 마주치는 잠재적인 심리적 장애물들이 있습니다:
“으악! 너 너무 많은 위험을 감수하고 있어!”
“너 실패할 수도 있어!”
“어차피 돈이 행복을 사는 건 아니잖아!”
게다가 우리의 교육 시스템은 실수를 가장 적게 하는 사람을 보상하고,
가장 많이 하는 사람을 벌주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06:06)
In the B and I quadrants you must act in the complete opposite way.
People who take action will also make the most mistakes, but in the long run, these people will learn more and achieve more as business owners and/or investors.
Thomas Edison was criticized for making 1014 mistakes before creating the electric light bulb.

  • Opposite [ˈɑːpəzɪt]: 반대의
  • Take action [teɪk ˈækʃən]: 행동하다
  • Criticize [ˈkrɪtɪsaɪz]: 비판하다
  • Long run [lɔːŋ rʌn]: 장기적으로
  • Achieve [əˈtʃiːv]: 성취하다

하지만 B와 I 분면에서는 정반대로 행동해야 합니다.
행동하는 사람은 실수도 많이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많이 배우고, 사업가나 투자자로서 더 많은 성과를 냅니다.
토마스 에디슨도 전구를 발명하기 전 1,014번이나 실수했다는 이유로 비판받았습니다.


(06:28)
In response, he said:
"I did not fail 1014 times! I successfully found out what did not work 1014 times."
The transition won't be easy, but a great start is to surround yourself with people who have made the journey before, and learn from those that are already successful in B and I quadrants.
Takeaway number 5: The five levels of investors.

  • In response [ɪn rɪˈspɑːns]: 이에 대한 답변으로
  • Surround [səˈraʊnd]: 둘러싸다, 함께하다
  • Transition [trænˈzɪʃən]: 전환
  • Successful [səkˈsɛsfəl]: 성공한
  • Journey [ˈdʒɜːrni]: 여정, 과정

이에 대해 에디슨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1,014번 실패한 것이 아니라, 1,014가지의 안 되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전환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그 과정을 이미 겪어본 사람들과 함께하고,
B와 I 분면에서 이미 성공한 사람들에게서 배우는 것이 훌륭한 출발점입니다.
다섯 번째 핵심 포인트: 투자자의 5단계 수준


(06:54)
According to Robert Kiyosaki, there are 5 different levels of investors.
Starting from the bottom, we have:

  1. The zero-financial intelligence level.
    At this level, we have the people who have nothing to invest at all.
    Each month, their expenses are higher than their income – often because they forget to pay themselves first,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trategy for wealth building taught in the classic The Richest Man in Babylon.
  • Intelligence [ɪnˈtɛlɪdʒəns]: 지능, 이해력
  • Expense [ɪkˈspɛns]: 지출
  • Income [ˈɪnkʌm]: 수입
  • Fundamental [ˌfʌndəˈmɛntl]: 근본적인, 기본적인
  • Wealth [wɛlθ]: 부, 재산

로버트 기요사키에 따르면,
투자자는 총 5단계의 수준이 있습니다.
가장 하위 단계는 0단계 – 금융 지능이 전혀 없는 수준입니다.
이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아예 투자할 자산이 없으며,
매달 지출이 수입보다 많습니다.
이는 종종 **‘먼저 자신에게 지불하라’**는 부의 기본 전략을 실천하지 않기 때문인데,
이 전략은 고전 『바빌론 부자들의 비밀(The Richest Man in Babylon)』에서 강조되는 핵심 원칙입니다.

 

 

(07:20)

영어 원문
2. The-savers-are-losers level. Placing hard-earned money under a mattress or in a low-interest bank account, will put you in the top 50% of people financially. But that doesn't mean that it's a solid personal finance plan. Why? Because of inflation. Between 1980 and 2017 the value of the Swedish crown was reduced by 69%, for instance.

주요 단어

  • Saver [ˈseɪvər]: 저축가, 저축하는 사람
  • Solid [ˈsɑːlɪd]: 견고한, 믿을 수 있는
  • Inflation [ɪnˈfleɪʃən]: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 Mattress [ˈmætrəs]: 매트리스
  • Value [ˈvæljuː]: 가치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2. "저축가는 패자다" 수준
힘들게 번 돈을 매트리스 밑에 숨기거나 이자가 거의 없는 은행 계좌에 넣는다면, 재정적으로 상위 50%에 들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건실한 개인 재정 계획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왜일까요? 바로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980년부터 2017년까지 스웨덴 크로나의 가치는 69%나 하락했습니다.


(07:45)

영어 원문
3. The I'm-too-busy level. A lot of people are simply too busy with their careers, family, friends and vacations to dedicate time to investing. They therefore hand over their money to someone else to do it.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such a person will never learn how to invest.

주요 단어

  • Dedicate [ˈdɛdɪkeɪt]: (시간·노력을) 바치다
  • Hand over [hænd ˈoʊvər]: 넘기다, 맡기다
  • Approach [əˈproʊtʃ]: 접근 방식
  • Career [kəˈrɪr]: 경력, 직장생활
  • Learn [lɜːrn]: 배우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3. "나는 너무 바빠요" 수준
많은 사람들이 직장, 가족, 친구, 휴가 등으로 너무 바빠서 투자에 시간을 들이지 못합니다. 그래서 돈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죠.
이 접근 방식의 문제는 이런 사람은 절대로 투자하는 법을 배울 수 없다는 것입니다.


(08:07)

영어 원문
4. The I'm-a-professional level. This is the do-it-yourself investor. He uses his own money and takes his own decisions. He is educating himself in the subject, but hasn't evolved to the last level yet. As you are watching this channel, I expected you already are at this level (or higher!) or that your intentions are to get here.

주요 단어

  • Professional [prəˈfɛʃənl]: 전문가
  • Do-it-yourself (DIY): 스스로 하는
  • Decision [dɪˈsɪʒən]: 결정
  • Educate [ˈɛdʒəkeɪt]: 교육하다, 배우다
  • Evolve [ɪˈvɑːlv]: 발전하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4. "나는 전문가예요" 수준
이 단계는 DIY 투자자, 즉 스스로 투자하는 사람입니다.
자신의 돈으로 직접 투자 결정을 내리고, 관련 지식을 스스로 공부하고 있죠.
아직 마지막 단계까지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이 영상을 보고 있는 여러분이라면 이미 이 단계이거나, 혹은 이 단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기대합니다.


(08:28)

영어 원문
5. The capitalist level. This is an investor who comes from the B quadrant and has learned how to use the concepts from there in his investing. For example, he is not investing alone. He has advisors that help him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markets, and in that, using OPT. Furthermore, he uses OPM as well as his own money. He has also learned how to use corporations to reduce taxation levels of his capital gains.

주요 단어

  • Capitalist [ˈkæpɪtəlɪst]: 자본가, 투자자
  • Advisor [ədˈvaɪzər]: 조언자, 자문가
  • Capital gains [ˈkæpɪtl ɡeɪnz]: 자본 이득
  • Corporation [ˌkɔːrpəˈreɪʃən]: 법인, 기업
  • Taxation [tækˈseɪʃən]: 과세, 세금 제도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5. 자본가 수준
이 단계의 투자자는 B 분면 출신이며, 그곳에서 배운 개념들을 투자에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혼자 투자하지 않습니다.
시장 정보를 수집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문가들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OPT(다른 사람의 시간)**을 사용합니다.
게다가 자신의 자금뿐만 아니라 **OPM(다른 사람의 돈)**도 활용하죠.
또한, 그는 법인을 활용해 자본이득에 대한 세금을 줄이는 방법도 익혔습니다.

 

 

(08:54)

영어 원문
The level 5 investor is the person who will reach financial freedom first among all of the investors. What level of investor are you? Here's the recap: There are four different roads to financial success. You may succeed as the employee, the self-employed, the business owner and/or the investor. The right side of the cashflow quadrant uses OPT and OPM.

주요 단어

  • Reach [riːtʃ]: 도달하다
  • Recap [ˈriːkæp]: 요약, 정리
  • Financial freedom [faɪˈnænʃl ˈfriːdəm]: 경제적 자유
  • Cashflow quadrant [ˈkæʃfloʊ ˈkwɑːdrənt]: 캐시플로우 사분면
  • Suitable [ˈsuːtəbl]: 적합한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5단계 투자자는 모든 투자자 중에서 가장 먼저 경제적 자유에 도달하는 사람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떤 단계의 투자자이신가요?
요약하자면, 재정적 성공으로 가는 길은 네 가지가 있습니다.
직장인, 자영업자, 사업가, 투자자로서 성공할 수 있죠.
이 중 **캐시플로우 사분면의 오른쪽(B, I)**은 **OPT(다른 사람의 시간)**과 **OPM(다른 사람의 돈)**을 사용합니다.


(09:20)

영어 원문
There are pros and cons with each of the quadrants, and depending on your personality and goals in life, one might be more suitable than the others.
If you wish to move to the B and I quadrants, you must learn to accept risks, make mistakes and surround yourself with others that have achieved what you wish to do.

주요 단어

  • Pros and cons [proʊz ænd kɑːnz]: 장단점
  • Personality [ˌpɜːrsəˈnæləti]: 성격
  • Goal [ɡoʊl]: 목표
  • Accept [əkˈsɛpt]: 받아들이다
  • Surround [səˈraʊnd]: 둘러싸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각 사분면에는 장단점이 있고,
여러분의 성격이나 삶의 목표에 따라 더 적합한 쪽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B 또는 I 사분면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위험을 감수하고, 실수를 받아들이며, 이미 여러분이 원하는 것을 이룬 사람들과 함께할 줄 알아야 합니다.


(09:38)

영어 원문
There are five levels of investors, and the greatest profits goes to the level 5 investor, who has learned how to implement business concepts in his investing approach.
Thanks for watching everyone! See you next time!

주요 단어

  • Implement [ˈɪmpləˌmɛnt]: 실행하다, 적용하다
  • Concept [ˈkɑːnsept]: 개념
  • Approach [əˈproʊtʃ]: 접근 방식
  • Profit [ˈprɑːfɪt]: 이익
  • Investor [ɪnˈvɛstər]: 투자자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
투자자는 총 5단계로 나뉘며,
가장 큰 수익을 얻는 사람은 비즈니스 개념을 자신의 투자 전략에 적용할 줄 아는 5단계 투자자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