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온체인 거래와 오프체인 거래란?부자되기 마인드 & 꿀팁 2025. 8. 9. 17:56반응형
1. 온체인 거래란? - 블록체인에 "직접" 기록되는 거래
온체인(On-Chain) 거래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직접 기록되어 영구적으로 남는 거래를 말합니다.
즉, 거래 내용이 ‘공개 장부’인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수천 수만 대의 컴퓨터(노드)가 검증하며 모두가 확인할 수 있죠.왜 중요할까?
- 투명성: 누구나 거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어요.
- 보안성: 한번 기록되면 변경 불가능해서 해킹이나 변조가 어렵습니다.
- 탈중앙화: 중앙기관 없이 네트워크 참가자 모두가 거래를 검증해 신뢰를 만듭니다.
온체인 거래의 대표적인 예시
예시 1) 개인 간 비트코인 송금
- A씨가 자신의 비트코인 지갑(예: 렛저, 메타마스크)에서 친구 B씨에게 0.1 BTC를 보냅니다.
- 이 거래 정보(보낸 주소, 받는 주소, 금액, 시간 등)가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누구나 블록체인 탐색기(예: blockchain.com)에서 조회 가능해요.
예시 2) 거래소 입출금
- 업비트, 바이낸스 등 거래소에 외부 지갑에서 비트코인을 입금할 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거래가 기록됩니다.
- 마찬가지로 거래소에서 외부 지갑으로 출금할 때도 온체인 거래입니다.
최신 동향: 2025년 온체인 거래 트렌드
- 기관투자자의 온체인 대규모 자금 이동 증가
최근 비트코인 ETF 승인, 기관의 디지털 자산 직접 보유가 활발해지며, 대규모 자금이 온체인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 디파이(DeFi), NFT, 실물자산 토큰화 증가
탈중앙화 금융과 NFT 시장, 부동산 등 실물자산 토큰화(RWA)가 온체인 거래를 기반으로 폭발적으로 성장 중입니다.
2. 오프체인 거래란? 블록체인 "외부"에서 처리되는 거래
오프체인(Off-Chain) 거래란,
블록체인에 직접 기록되지 않고, 중앙화 거래소 서버나 별도 시스템 내부에서 처리되는 거래를 말합니다.
즉, ‘실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지 않고’ 계정상 잔액만 바뀌는 방식이죠.왜 쓰일까?
- 속도가 매우 빠르고 수수료가 적거나 없음
- 블록체인의 느린 처리 속도와 높은 수수료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오프체인 거래 대표적인 예시
예시 1) 거래소 내부 매매
- 업비트에서 A가 1 BTC를 팔고, B가 바로 사면 실제 블록체인에는 거래 기록이 없고 거래소 서버에서만 잔액이 이동합니다.
- 즉, 블록체인 기록 없이 거래가 빠르게 처리되고 수수료도 저렴합니다.
예시 2) 레이어2 / 롤업 기반 거래
-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폴리곤, 옵티미즘 등)은 별도의 네트워크에서 거래를 처리하고, 일정 기간에 한번씩만 메인체인에 결과를 기록해 비용과 속도를 개선합니다.
예시 3) NFT 플랫폼 내부 거래
- 업비트 NFT 마켓 등에서는 플랫폼 내 NFT 거래가 블록체인에 기록되지 않고 내부 장부에만 기록됩니다.
- 외부 지갑으로 NFT를 출금할 때 비로소 온체인 거래가 발생합니다.
최신 동향: 2025년 오프체인 거래 트렌드
- 거래량의 80% 이상이 오프체인 내부 거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비트코인 및 주요 암호화폐 거래의 대부분은 중앙화 거래소 내부 오프체인 매매입니다. - 파생상품(선물, 옵션)도 대부분 오프체인
고속 매매, 낮은 수수료, 대규모 거래를 위해 오프체인 거래가 필수적입니다. - 사용자 선호도 높음
빠른 거래와 낮은 수수료 때문에 일반 투자자와 기관 모두 오프체인 거래를 주로 사용합니다.
3. 온체인 거래 vs 오프체인 거래: 장단점 비교
구분 온체인 거래 오프체인 거래 처리 속도 느림 (수초~수분, 네트워크 상태 따라) 매우 빠름 (즉시 처리 가능) 수수료 높음 (채굴자/검증자에게 지불) 매우 낮거나 없음 (거래소 내부 시스템) 투명성 매우 높음 (누구나 공개 조회 가능) 낮음 (중앙화 시스템 내에서만 확인 가능) 보안/신뢰 매우 높음 (탈중앙화, 변조 불가) 낮음 (중앙기관에 의존, 해킹 위험 존재) 익명성 주소 기반 익명성 (거래 내역 공개됨) 상대적으로 익명성 높음 (내부 정보 비공개) 4. 실제 시장에서의 활용과 미래 전망
혼합 모델 확산
- 대부분 거래는 오프체인(거래소 내부)에서 이루어지지만,
- 입출금, 장기 보관, 디파이·NFT 등 중요한 자산 이동은 온체인으로 처리하는 ‘혼합 모델’이 대세입니다.
기관 투자자의 역할
- 2024~2025년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수천억 달러 규모 자금이 거래소로 유입 → 일부 자금은 온체인으로 이동해 장기 보관 중입니다.
한국 시장 특성
- NFT, 디파이, 토큰화 자산 등은 온체인 필수 거래
- 소액 스팟 거래와 파생상품 매매는 대부분 오프체인 거래로 진행
미래: 온체인 거래 증가 전망
-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이 토큰화되어 온체인에서 거래될 전망
- 오프체인의 단점인 ‘신뢰성 문제’와 ‘보안 위험’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진화할 것입니다.
5. 정리: 초보자용 핵심 포인트
거래 방식 설명 대표 사례 특징 온체인 거래 블록체인에 직접 기록되는 거래 개인 지갑 간 비트코인 송금, 거래소 입출금, 디파이, NFT 거래 투명, 불변, 탈중앙화, 느림, 수수료 있음 오프체인 거래 블록체인 외부에서 빠르게 처리되는 거래 거래소 내부 매매, 레이어2, NFT 플랫폼 내부 거래 빠름, 저렴, 중앙화, 제한된 투명성 마무리 한마디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온체인 거래와 오프체인 거래가 각각의 장단점을 살려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빠르고 저렴한 오프체인 거래가 대세지만, 탈중앙화, 보안, 투명성을 중시하는 디파이와 NFT 시장은 온체인 거래를 기반으로 성장 중입니다.앞으로는 더 많은 금융 자산이 온체인 거래로 토큰화되고, 두 거래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혁신적인 서비스가 계속 나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MUMpvWezcg
https://www.youtube.com/watch?v=0nnRH0HfoGM
반응형'부자되기 마인드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가상화폐의 호재와 악재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5) 2025.08.09 비트코인: 유니스왑이 무엇인가요? (1) 2025.08.09 비트코인: 가상화폐 거래는 멈추는 일이 전혀 없나요? (1) 2025.08.09 비트코인: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이 뭔가요? USDT, USDC (4) 2025.08.08 비트코인: 가상화폐 거래소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 (10) 2025.08.06